로고 이미지
  • 02-3421-1009

  • 24시간 상담 가능

실시간 견적 내기 카카오 상담

제례절차

제례란 신의 뜻을 받아 복을 비는 의례를 말한다. 현대적 의미로는 일반적으로 조상에 대한 의례를 이야기 한다.

구분 세부내용
신위 봉안 조상의 신위를 제청에 모신다. 신위지방이나 영정사진으로 모신다.
강신 조상의 영혼을 맞이하는 의식. 제주는 향을 피우고 집사자가 강신술잔을 받아 모사에 세 번 나누어 붓는다.
집사자가 술잔을 제자리에 놓으면 제주는 두 번 절한다.(재배)
참신 제주와 제관들은 두 번 절한다.(재배) 신위에 인사드리는 의례
초헌 제주가 초헌관이 된다. 제주가 무릎을 꿇고 집사자가 술잔을 제주에게 건네주고 술을 가득 부어 준다.
제주는 술잔을 향불 위를 통해 집사자에게 전달하고 집사자는 술잔을 건네받아 메와 국사이에 놓는다.
제주가 무릎을 꿇어 앉아 있는 동안 축관이 축문을 읽는다.
독축 축문을 읽는 동안 모든 참가자는 무릎을 꿇어 엎드린다. 축문이 끝나면 제주는 두 번 절한다.
아헌 두 번째 잔을 올리는 것을 말한다. 근친자가 술 잔을 올리고 두 번 절한다.
원래 제주의 부인이 하는 것이지만 여자는 제사에 참여를 하지 않는 지역은 근친자가 대신한다.
종헌 세 번째 잔을 올리는 행위로 초헌과 아헌과 마찬가지로 술잔을 올리고 재배 한다.
삽시 가락을 메어 꽂고 젓가락은 바르게 놓는다.
합문 병풍으로 제사상을 가리고 제관 일동이 제청의 문을 닫고 3분에서 4분을 기다린다.
단칸방이나 부득이한 경우 제자리에 조용히 엎드리고 기다린다.
이는 조상이 식사하는 것을 자손이 쳐다보는 것은 실례라고 생각하여 자리를 비켜드리는 행위이다.
개문 조상이 식사를 다하였다고 생각하면 축관이 세 번 기침을 하여 제관들에게 알리고 문을 열면 제관들은 들어간다.
헌다 국그릇을 내리고 숭늉을 올린 다음 메를 세 숟가락 떠서 숭늉에 넣은 뒤 모두 엎드린다.
철시복반 숭늉그릇에 놓인 숟가락을 내려 놓고 메그릇을 덮는다.
사신 신을 보내는 절차로 제주와 제관 및 참여자 모두 두 번 절한다.
철창 축문과 지방을 모두 불에 태운다. 물을 담은 대접을 준비하여 젓가락으로 태우고
남은 축문과 지방을 집어 물이 담긴 대접에 버린 후 불씨가 남았는지 확인한다.
철상 모든 제수(제사상)을 물리는 행위를 말하고 철상은 뒤부터 물린다.
음복 조상이 남겨주신 음식을 자손이 먹는 절차. 이는 복되다 하여 음복이라고 한다.
참석자 전원이 음식을 나눠 먹고 친족과 이웃에게도 나누어 준다.